손실 탄젠트란?
손실 탄젠트는 손실 계수(Df)라고도 하며, 신호가 전송 라인을 따라 이동할 때 신호 손실의 양을 측정하는 PCB 산업에서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 이는 PCB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가 전자파를 흡수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무차원 값입니다. 탄젠트(Δ)로 표시되는 손실 탄젠트는 재료의 구조 및 구성, 특히 유리-수지 구성과 같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손실 탄젠트가 낮을수록 신호 손실이 줄어들어 원래 전송된 신호의 더 많은 부분이 의도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이 특성은 트랜시버와 긴 백플레인 채널을 통한 고주파 신호 전송과 관련된 설계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손실 탄젠트는 일반적으로 인치당 데시벨(dB/in) 단위로 측정되며 감쇠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PCB에 적합한 소재를 선택할 때는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실 탄젠트가 낮은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손실 탄젠트가 낮은 소재는 가격이 높은 경우가 많으므로 소재 성능과 비용 간의 균형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목표 데이터 속도와 도달 거리에서 다양한 재료 옵션의 신호 감쇠를 비교하여 비용 대비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이상적인 유전체에 대한 손실 접선이란?
이상적인 유전체의 손실 탄젠트(탄젠트 δ)는 전기 전도, 유전체 이완, 유전체 공명, 비선형 프로세스 등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 소모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값입니다[4].
전자기 이론에서 손실 접선이란 무엇인가요?
손실 탄젠트(tanδ)는 전자기 이론에서 손실이 물질 내 전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손실 탄젠트는 손실이 없는 물질(σ≡0)의 경우 0이며 손실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이는 손실이 재료 내 전자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손실 탄젠트 계산 방법
손실 탄젠트(손실 계수라고도 함)는 유효 손실 전류와 무효 충전 전류 사이의 수치 비율을 결정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 사이의 비율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손실 탄젠트 측정 방법
탄젠트 손실은 탄젠트 δ라고도 하며 유전율의 허수 부분과 실수 부분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결정됩니다. 흔히 탄젠트 델타, 탄젠트 손실 또는 소산 계수라고도 합니다.
유전체 손실과 접선 손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유전체 손실은 손실 탄젠트 또는 탄젠트 델타(tan δ)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간단히 말해서, 탄젠트 델타는 교류장 벡터와 재료의 손실 성분 사이에 형성된 각도의 접선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탄 δ의 값이 클수록 유전체 손실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